본문 바로가기

의학과 생활

터널증후군으로 잘알려진 수근관 증후군

손목부위에 손가락을 움직을 책임지는 9개의 힘줄과 하나의 신경이 지나가는데 이 힘줄과 신경을 작은통로가 터널처럼 둘러싸고 있는데 이 터널같은 통로를 수근관이라고 부른다. 수근관이 좁아지거나 내부압력이 증가면서 안쪽의 신경들을 압박해 손저림이나 감각저하의 증상을 나타나는 질병을 수근관증후군, 혹은 터널증후군이라고도 부른다.


이론적으론 수근관이 좁아일질 수 있는 무엇이든 원인이 된다고 볼 수 있는데, 대부분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수근관을 덮고있는 인대가 두꺼워져서 신경을 압박하는 것이 흔한 원인이고 수근관절 주변의 골절이나 탈구로 인한 후유증, 염증성 질환이나 부종, 수근관 내에 생긴 종양등이 비교적 잘알려진 원인이다.


남녀 모두에게 발생하는 질환이지만 40대 이후의 중년여성과 비만, 노인, 당뇨병 환자들에게 일반적으로 더 흔하게 나타나고 임신중에도 일시적인 이 증상을 보이고 투석을 받는 만성신부전환자들에게서도 보인다. 최근에는 손이용해 반복작업을 하거나 자주사용하거나  미용사나 컴퓨터를 많이 사용하는 직장인들에게 많이 나타난다. 


지나치기 쉬운 수근관 증후군의 증상


초반 증상은 엄지에서 중지쪽과 손바닥 부위가 저리고 통증을 느끼는데 대부분 혈액순환에 문제가 있다고 여기는 경우가 많고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다른 질병들도 있어서 적극적으로 병원을 방문해서 진단하는 경우가 아니고서는 초반에 병증을 인지하기가 어렵다.


다른 증상들은 새끼손가락을 제외하고 손가락들이 저리는증상이 있고 야간에 잠을잘때 타는 듯한 심한 통증이 나타나며 손가락이 화끈거리는 느낌도 있을 수 있다. 물건을 들다가 잘 떨어뜨리게 된다거나 아침에 일어났을 때 손이 굳거나 경련증상이 있으며 팔을 올렸을 때 팔목에 통증이 느껴지고 팔목뿐 아니라 팔과 어깨 목 부분까지 통증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초기를 지나 질병이 좀더 진행이되면, 위 증상들중 물건을 잘 못들게 되는 것처럼 운동능력이 떨어진다. 이 증상은 엄지쪽의 감각이 떨이지면서 근처 근육이 위축되기 때문인데 이때가 되면 부어있지않은데 손가락과 손바닥을 부은것 같은 느낌을 느끼고 날이 추우면 손끝이 유난히 시리고 저린증상을 보인다.


수근관 증후군을 확인하는 검사로는 정중신경이 지나가는 손목의 신경을 눌렀봤을 때 정중신경 지배영역에 이상감각이나 통증이 생기는지를 보는 신경타진검사와 손바닥을 안쪽으로 향하게 손목을 1분정도 심하게 꺾었을 때 정중신경지배영역에 통증과 이상증세를 보는 수근굴곡검사, 무지구 근육이라고 하는 엄지손가락에서 두툼한 부분에서 근전도 이상과 손목에서 신경전달의 속도지연을 확인해보는 전기적 검사가 대표적인 검사 방법이다.



수근관증후군의 치료법


수근관증후군의 치료는 정중신경을 압박하는 원인을 찾아서 제거해주는 것이며 치료법은 수술 치료와 비수술 치료가 있다. 


비수술 치료는 엄지손가락의 두툼한 부분인 무지구근육의 위축이 없고 비교적 다른 증상들이 가벼운 초기일때 시도하는 치료법으로 손목에 부목이나 고정기를 이용해 손목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소염진통제 등의 약물치료와 스테로이드 주사치료를 시행한다.


야간 수면중 통증이 증상이라면 손목을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해두고 깨어있는 낮시간에는 가벼운 통증이 있는 초기 환자에게는 소염제같은 약물치료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스테로이드 주사치료는 수근과 내에 연부조직을 위축시켜 일시적으로나 영구적으로 나아질 수 있는데 많은 환자들이 일시적인 효과를 보고 재발되는 경우가 많다. 


수술치료는 비수술치료로 효과를 보기 힘든 병증이 진행된 환자나 근육의 수축으로 인해 운동기능이 약화되어 있고 류마티스관절염과 같은 다른원인으로 인해 수근관이 압박되는 경우, 종양과 같이 제거해야할 병증을 보인경우 등에는 좁아진 수근관을 물리적으로 넓혀주는 외과적 수술을 진행한다. 


비수술치료가 장기적으로 결과가 좋은 안은 경우가 적지않은데 반해 수술치료는 비교적 간단하고 결과적으로 좋은편에 속해서 조기 수술치료를 진행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인대를 잘어주어서 수근관을 넓혀주는 수근과 유리술을 받은 경우는 수일 내로 제한적 움직임이 가능하고 2주정도 지나면 일상생활이 가능하며 기능적인 부분을 제대로 회복되는 기간이 반년정도까지 걸리는 경우도 있다. 초기일수록 회복이 빠르고 무지구 근육의 이상이 클수록 회복되는 기간이 좀더 긴경우가 받고 신경 압박이 심한 경우는 1년넘게 걸릴 수도 있다.